● 터미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모니터링을 도움 ● 항만에서 운용되는 장비와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표시 ● 데이터 수집을 통해 운영 관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 ● 실시간으로 작업 현황 및 위험 알림 정보 등을 모니터링 ● CCTV 등의 외부 장비와 연동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위험 요소를 최소화
항만 관제 모니터링 기술과 연계한 디지털 트윈 개념
1. 터미널 구조 및 자원 표출
위성지도 기반 터미널 지형 매핑 및 시각화
+
사실적인 터미널 시설물 및 장비의 3D 모델링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2차원 터미널 정보 시각화
터미널 형상, 장비 등 실제 항만 시설 보유 장비를 3D 모델링으로 완벽하게 재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
● 터미널의 구조, 상태, 작업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지형 위에 터미널의 주요한 시설물과 장비를 구현하고,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UI 형태로 보여주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 컨테이너 새시, 야드 트랙터, 각종 크레인, 엠티 핸들러 및 리치 스태커 등 항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고품질로 모델링하고, LOD 단계를 컴포넌트 별로 세밀하게 조절하여 많은 객체가 화면에 렌더링 될 때도 부하가 적도록 최적화하였습니다.
터미널 구간 분할 시각화
터미널 주요 운용 장비 사실적 형상화
2. 표준화 플랫폼 기반 IoT 연계 지원
표준화된 플랫폼 기반 IoT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항만 장비/작업자의 위치·작업 상태 정보를 인계합니다.
● 무인 트랜스퍼 크레인 등의 직접적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장비 외에, 위치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다양한 항만 장비들에 IoT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를 통해 항만에서 운용되는 장비들과 작업 진행 중인 작업자들의 위치 및 작업 상태 등의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
3. 터미널 주요 객체 식별 및 작업 정보 표출
터미널에서 운용 중인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등의 항만에서 운용되는 대부분의 객체에 대한 이동 상황 및 작업 상황 등에 따른 동작을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장비 분류 항목에 따른 필터링으로 실시간 터미널 객체 위치 및 장비 기능 표출
● 장비 목록, 장비 검색에 따른 필터링으로 객체 뷰포인트 및 객체 위치, 동작 및 상세 정보 표출
4. 터미널 운영 및 분석 정보
터미널 운용의 핵심인 작업 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수신한 다량의 데이터를 정리하고 구간별, 선석별로 수행예정, 수행 완료된 작업량을 숫자로 시각화하여 작업 진행률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작업부하의 관리와 배분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A. 구간 작업 내역
· 작업 정보에 따라 구간 작업 내역 및 분석 시간 확인 완료 · 현재 Order 개수 / Order에 대한 평균 대기 시간 / Order에 대한 최대 대기 시간
B. 선석 작업 내역
· 작업 정보에 따라 선박 작업 내역 확인 완료 · C/C 별 작업 내역 정보 확인 완료 · 선박 정보, 입출항 시간, C/C별 가동 시간, 처리 개수, 잔량, 평균 처리 개수
5. CCTV 연계
터미널 내의 라이트 포스트, 무인 트랜스퍼 크레인 등에는 작업 상황 확인을 위해 기존에 운용 중이던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위치별로 제공하여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CCTV 영상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 CCTV 위치 표시 및 클릭시 링크 주소 표시
● 내부 CCTV 링크 주소로 웹 페이지 이동해서 확인
6. 장치 현황 정보
블록 내의 컨테이너들은 각각 선택하기에 크기가 너무 작고 서로 가려져 있으므로, 로우 뷰와 베이 뷰 형태로 블록별로 특정 면의 컨테이너를 선택할 수 있도록 2D 오버레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각 컨테이너의 구분과 내용물, 작업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베이뷰 화면
로우뷰 화면
컨테이너 상세 정보 확인
7. 위험 정보 관리
터미널 운용의 또다른 중요 정보인 사고 및 위험요소 발생 등 주요한 안전 관련 이벤트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위험 상황 발생의 여부와 장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의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부산항 터미널에서 사용 중인 알람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벤트를 전달하고 위험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처리하였습니다.
8. 생산 예측 정보 가시화
항만 터미널 운용 중 필요한 작업 생산성 지표에 관해서는 예정된 작업량과 현재 작업량 등을 시각화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터미널 전체 또는 특정 구간, 선석의 생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작업효율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항만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의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항만 터미널로부터의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이를 통한 빅데이터 통합 정보를 가시화하는 3D 기반의 디지털 관제 시스템
『항만 모니터링 디지털 트윈 시스템』 주요 기능
● 터미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의 모니터링을 도움
● 항만에서 운용되는 장비와 IoT 디바이스에서 수신한 정보들을 통합하여 표시
● 데이터 수집을 통해 운영 관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시각화
● 실시간으로 작업 현황 및 위험 알림 정보 등을 모니터링
● CCTV 등의 외부 장비와 연동하여 작업 효율을 높이고 위험 요소를 최소화
1. 터미널 구조 및 자원 표출
위성지도 기반
터미널 지형 매핑 및 시각화
+
사실적인 터미널 시설물 및
장비의 3D 모델링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2차원 터미널 정보 시각화
터미널 형상, 장비 등 실제 항만 시설 보유 장비를 3D 모델링으로 완벽하게 재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축
● 터미널의 구조, 상태, 작업 상황 등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지형 위에 터미널의 주요한 시설물과 장비를 구현하고,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UI 형태로 보여주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 컨테이너 새시, 야드 트랙터, 각종 크레인, 엠티 핸들러 및 리치 스태커 등 항만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비들을 고품질로 모델링하고, LOD 단계를 컴포넌트 별로 세밀하게 조절하여 많은 객체가 화면에 렌더링 될 때도 부하가 적도록 최적화하였습니다.
2. 표준화 플랫폼 기반 IoT 연계 지원
표준화된 플랫폼 기반 IoT 디바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항만 장비/작업자의 위치·작업 상태 정보를 인계합니다.
● 무인 트랜스퍼 크레인 등의 직접적으로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장비 외에, 위치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한 다양한 항만 장비들에 IoT 디바이스를 설치하여 MQT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를 통해 항만에서 운용되는 장비들과 작업 진행 중인 작업자들의 위치 및 작업 상태 등의 정보를 연계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습니다.
3. 터미널 주요 객체 식별 및 작업 정보 표출
터미널에서 운용 중인 장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등의 항만에서 운용되는 대부분의 객체에 대한 이동 상황 및 작업 상황 등에 따른 동작을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4. 터미널 운영 및 분석 정보
터미널 운용의 핵심인 작업 정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수신한 다량의 데이터를 정리하고 구간별, 선석별로 수행예정, 수행 완료된 작업량을 숫자로 시각화하여 작업 진행률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작업부하의 관리와 배분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습니다.
A. 구간 작업 내역
· 작업 정보에 따라 구간 작업 내역 및 분석 시간 확인 완료
· 현재 Order 개수 / Order에 대한 평균 대기 시간 /
Order에 대한 최대 대기 시간
B. 선석 작업 내역
· 작업 정보에 따라 선박 작업 내역 확인 완료
· C/C 별 작업 내역 정보 확인 완료
· 선박 정보, 입출항 시간, C/C별 가동 시간, 처리 개수,
잔량, 평균 처리 개수
5. CCTV 연계
터미널 내의 라이트 포스트, 무인 트랜스퍼 크레인 등에는 작업 상황 확인을 위해 기존에 운용 중이던 CCTV가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영상에 접근할 수 있는 링크를 위치별로 제공하여 필요할 때 실시간으로 CCTV 영상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 CCTV 위치 표시 및 클릭시 링크 주소 표시
● 내부 CCTV 링크 주소로 웹 페이지 이동해서 확인
6. 장치 현황 정보
블록 내의 컨테이너들은 각각 선택하기에 크기가 너무 작고 서로 가려져 있으므로, 로우 뷰와 베이 뷰 형태로 블록별로 특정 면의 컨테이너를 선택할 수 있도록 2D 오버레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각 컨테이너의 구분과 내용물, 작업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위험 정보 관리
터미널 운용의 또다른 중요 정보인 사고 및 위험요소 발생 등 주요한 안전 관련 이벤트에 대해서는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위험 상황 발생의 여부와 장소를 확인할 수 있도록 화면 상의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부산항 터미널에서 사용 중인 알람 시스템과 연동하여 이벤트를 전달하고 위험상황 발생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처리하였습니다.
8. 생산 예측 정보 가시화
항만 터미널 운용 중 필요한 작업 생산성 지표에 관해서는 예정된 작업량과 현재 작업량 등을 시각화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터미널 전체 또는 특정 구간, 선석의 생산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작업효율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