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에이빙(https://kr.aving.net)
부산시, CES 2025서 통합부산관 단독관 운영… “지역 혁신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박형준 부산시장 등 주요 인사들이 7일 개최된 CES 2025 통합부산관 개관식에서 단체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 제공=부산시 , 출처=에이빙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7일(이하 현지시각) 개막한 세계 최대 IT·전자제품 전시회 CES 2025에서 '통합부산관'이라는 이름으로 부산시 명의 첫 단독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오는 10일(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 부산시 명의로 첫 단독관을 운영하며, 지역 혁신기업과 함께 부산의 스마트 기술 및 혁신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통합부산관은 ‘CES’ 행사장인 글로벌 파빌리온(Global Pavilion) 내에 위치하며, 8개 부서·기관과 협력해 총 25개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7일 오전 10시 30분 박형준 시장, 킨지 패브리지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회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관 개관식이 개최됐으며, 10일까지 운영된다.
통합부산관 참여 기업은 ▲삼원에프에이㈜ ▲㈜슬래시비슬래시 ▲㈜블룸즈베리랩 ▲㈜짐 ▲㈜코어무브먼트 ▲㈜테렌즈 ▲㈜코트론 ▲㈜케이워터크레프트 ▲㈜맵시 ▲뉴에너지㈜ ▲㈜피티브로 ▲㈜마리나체인 ▲㈜샤픈고트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론픽 ▲㈜토탈소프트뱅크 ▲㈜타키 ▲㈜코아이 ▲㈜랩오투원 ▲㈜삼우이머션 ▲소무나㈜ ▲㈜엘렉트 ▲㈜씨아이티 총 23개 사이다.
(중략)

CES 2025 통합부산관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 , 출처=에이빙
박형준 시장은 “CES 2025는 부산이 추구하는 미래 비전과 글로벌 기술 혁신을 접목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이번 행사를 통해 경험하고 형성할 글로벌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은 향후 부산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커다란 자산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부산 단독관 운영은 부산이 글로벌 무대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역사적인 첫걸음”이라며, “올해 첫발을 내딛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를 발판 삼아 향후 'CES'의 주요 무대(Main Booth)로 도약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돌아오겠다.”라고 밝혔다.
(후략)
에이빙=최예원 기자
출처 : 에이빙(https://kr.aving.net)
출처 : 에이빙(https://kr.aving.net)
박형준 부산시장 등 주요 인사들이 7일 개최된 CES 2025 통합부산관 개관식에서 단체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 │사진 제공=부산시 , 출처=에이빙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7일(이하 현지시각) 개막한 세계 최대 IT·전자제품 전시회 CES 2025에서 '통합부산관'이라는 이름으로 부산시 명의 첫 단독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오는 10일(금)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 부산시 명의로 첫 단독관을 운영하며, 지역 혁신기업과 함께 부산의 스마트 기술 및 혁신 제품을 선보인다.
이번 통합부산관은 ‘CES’ 행사장인 글로벌 파빌리온(Global Pavilion) 내에 위치하며, 8개 부서·기관과 협력해 총 25개의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 7일 오전 10시 30분 박형준 시장, 킨지 패브리지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회장, 강석훈 한국산업은행 회장,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부산관 개관식이 개최됐으며, 10일까지 운영된다.
통합부산관 참여 기업은 ▲삼원에프에이㈜ ▲㈜슬래시비슬래시 ▲㈜블룸즈베리랩 ▲㈜짐 ▲㈜코어무브먼트 ▲㈜테렌즈 ▲㈜코트론 ▲㈜케이워터크레프트 ▲㈜맵시 ▲뉴에너지㈜ ▲㈜피티브로 ▲㈜마리나체인 ▲㈜샤픈고트 ▲㈜이즈커뮤니케이션즈 ▲㈜론픽 ▲㈜토탈소프트뱅크 ▲㈜타키 ▲㈜코아이 ▲㈜랩오투원 ▲㈜삼우이머션 ▲소무나㈜ ▲㈜엘렉트 ▲㈜씨아이티 총 23개 사이다.
(중략)
CES 2025 통합부산관 전경. │사진 제공=부산시 , 출처=에이빙
박형준 시장은 “CES 2025는 부산이 추구하는 미래 비전과 글로벌 기술 혁신을 접목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이번 행사를 통해 경험하고 형성할 글로벌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은 향후 부산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커다란 자산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부산 단독관 운영은 부산이 글로벌 무대에 본격적으로 도전장을 내민 역사적인 첫걸음”이라며, “올해 첫발을 내딛는 단계일 수 있으나 이를 발판 삼아 향후 'CES'의 주요 무대(Main Booth)로 도약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돌아오겠다.”라고 밝혔다.
(후략)
에이빙=최예원 기자
출처 : 에이빙(https://kr.aving.net)